
러시아 월드컵 독일전 결승골 주인공인 김영권 선수가 경기 후 인터뷰에서 ‘한국 축구를 위해 더 희생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을 하였다.
응?
희생?
곰곰히 생각해보니 우리는 ‘희생 (sacrifice)’이라는 말을 평소에 너무 쉽게, 그리고 자주 사용한다. 특히 ‘회사를 위해서’, ‘나라를 위해서’ 등 무엇인가 더 크게(?) 느껴지는 ‘대의’를 위하여 우리는 개인의 자유/권리/시간을 ‘희생’ 하는 것이 너무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당연한 만큼 자주 말을 하고 다닌다.
나는 일반적으로 ‘희생한다’ 라는 문구를 좋아하지 않고, 특히 ‘회사를 위해 희생’ 한다는 류의 말에 대해서는 너무나 반대한다. 회사의 이익을 위해 감정에 호소한 부당한 노동 착취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회사가 잘 되어야지 그 회사의 구성원들도 잘 될 수 있지만, 사원들이 희생하지 않고서 회사가 잘 될 수 없다면 그 회사는 시장경제 원리에 따라 망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게다가 평생 야근, 주말 근무, 임금 동결 등의 ‘희생’으로 회사가 궤도에 오른 후 정리해고라도 된다면 개인적으로 얼마나 억울한 일 이겠는가?
대신 나는 ‘헌신 (dedication)’이라는 단어가 더 많이 쓰였으면 좋겠다.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라고 생각할 지 모르지만 희생과 헌신의 차이는 실제로 꽤 크다. 희생은 수동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반면 헌신은 100% 능동적인 행위이다. 같은 야근과 주말 근무를 하더라도, 능동적으로 (본인이 좋아서, 하고 싶어서, 스스로) 하는 것과 상사의 강요나 눈치 때문에 억지로 개인 시간을 희생 당하면서 하는 것의 차이는 일을 대하는 태도, 능률, 성과, 개인적인 만족도 등에 대해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가끔씩 실리콘밸리의 ‘성공 비법’이 자유롭고 유연한 근무시간, 높은 연봉과 엄청난 직원 복지, 한국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워라밸, 수평적인 조직 문화 등에 있다고 주장하는 한국 기사를 접하곤 한다. 물론 이런 것들이 한국과 비교해서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성과주의 평가, 대기업 스타트업 할 것 없는 치열한 경쟁, 그리고 불안한 고성취자 (insecure high achiever) 들이 바글바글한 실리콘밸리이기에 생각보다 일 많이 하고, 야근 (집에서 늦게 까지 랩탑 들고 일하는 것 포함) 많고, 사내 정치 치열하고, 또 살인적인 물가로 고액 연봉 대비 생각보다 넉넉치 못하게 사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보다 오히려 위에서 언급한 ‘희생’이 아닌 ‘헌신’이라는 관점으로 일을 접근하는 사람들이 실리콘밸리에 훨씬 더 많다는 것이 숨은 ‘성공 비법’이 아닌가 생각한다. 아무리 위에서 성과를 위해 조직을 굴리고 쪼아도(?) 헌신적인 자세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일하는 조직의 성과를 따라잡기 어려운 것이다. 설령 짧게는 따라 잡은 것 같아도 지속적으로 (sustainable),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더더욱 어려울 것이다.
회사 구성원이 회사에 헌신을 하기 위해서는 주식이나 스톡옵션 등의 금전적인 이해 관계도 필요 하겠지만, 궁극적으로는 각 구성원들의 업무에 자율성, 책임, 그리고 업무에 대한 의미가 부여 되어야 한다. 회사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업무에 의미를 느끼지 못하고 조직의 일개 부속품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순간 부터 조금이라도 정해진 업무에서 벗어난 일들은 헌신이 아닌 희생의 영역이 되는 것이다. 회사의 리더는 직원들에게 희생을 강요, 종용, 묵인하기 보다 회사 구성원들이 업무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공감 가능한 회사의 가치와 비전을 공유하고, 헌신적으로 일을 하며 성과를 내는 사람들이 성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특히, 스타트업 창업자라면 더더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