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ivorship Bias (생존자 편향의 오류)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 전투기가 격추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전장에서 돌아온 전투기들의 외상을 분석하여 취약 부분을 보강하는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분석 결과 비행기의 외상 대부분이 날개 및 꼬리 부분에 집중되어 있었고, 이에 당연히 해당 부분에 추가 장갑을 설치하려 하는데 분석을 총괄한 연구원이 당장 조종석과 엔진 부분을 집중 보완해야 한다는 뜬금없는 주장을 했다고 한다. 그의 분석에… Read more Survivorship Bias (생존자 편향의 오류)

불확실함을 구분하는 법: 무서운 것과 위험한 것

생각보다 강렬한 실리콘밸리 여름이 찾아왔는데 이를 핑계 삼아 비싼 크래프트 맥주를 찾아 마시고 있다. 시원한 맥주를 마시면서 팟캐스트 리스트를 훑어 보다가 뙇(!) 눈에 띄는 리스팅: ‘사무엘 아담스 맥주 창업자 짐 코크(Jim Koch)의 이야기’. (사무엘 아담스 맥주는 미국에서 ‘전국적으로’ 알아주는 크래프트 (수제) 맥주이다.) 맥주를 마시며 들을 수 있는 팟캐스트 중 이보다 더 적절한 것이 어디 있을까…하며… Read more 불확실함을 구분하는 법: 무서운 것과 위험한 것

그로스 해킹 – 이보다 더 과학적일 수 없다

https://pixabay.com/en/arrows-growth-hacking-marketing-2128979/

큐빗(Qubit)이라는 마케팅 분석 플랫폼 스타트업이 그들의 플랫폼에서 수행된 수 천 개의 그로스 해킹 실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를 논문 형식으로 발표하였다. 사실 그로스 해킹 만큼 실용적이고 실증적인 (empirical) 계량 마케팅 논문을 쓰기에 좋은 주제가 없다고 생각했었는데 누가 이렇게 해주니 너무 감사! 다음은 논문의 간단한 요약: 표본 집단 및 분석 정의 전자상거래 (여행업 포함) 업체들의 실험 결과를… Read more 그로스 해킹 – 이보다 더 과학적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