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드인 + 마이크로소프트

즐거운 주말을 보내고 일어나니 갑작스런 소식으로 월요일을 맞이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내가 다니고 있는 링크드인을 262억 달러에 (약 30조 8천억 원) 인수한다는 것이다. 샤워를 마치고 전화기를 보니 내가 사용하는 모든 메신저를 통해 지인들의 축하, 우려, 질문으로 가득차 있었다. ‘세기의 딜’이라고 칭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정말 엄청난 뉴스인가 보다 (실제로 소프트웨어 산업 역사상 가장 큰 인수합병 금액이다). 간단히 인수합병 내용에 대해 요약해 본다.

우선 들어가기 앞서, disclosure:

저는 링크드인의 공식 대변인이 아닙니다. 인터뷰는 정중히 사절합니다. 아래 내용은 이미 공개 보도자료를 발췌해서 요약한 것입니다. 혹시나 뭍어나오는 의견은 개인 의견일 뿐, 회사나 회사 직원으로써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포스팅 아래에 있는 링크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헤드라인

마이크로소프트 + 링크드인 = 클라우드 + 전문가 네트워크

World’s leading professional cloud + world’s leading professional network

Screen Shot 2016-06-13 at 12.09.21 PM

인수합병 조건

  • 마이크로소프트가 링크드인을 현금으로 매입
  • 주당 매입가격 $196달러 (전날 거래가격 $131 대비 +$65, +50% 프리미엄. 52주 최고가 $258불 대비 -24%)
  • 링크드인 기업가치 $262억 달러(약 30조 8천억 원)로 평가. 마이크로소프트 역사상 가장 큰 거래. (역사상 가장 큰 소프트웨어 회사 인수합병 거래액)
  • 링크드인 공동 창업자이자 이사회장으로 있는 리드 호프먼 및 이사회의 만장일치로 합병 결정
  • 연말까지 인수합병을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함

인수합병 구조

  • PMI (post-merger integration) 리더십 팀

– 링크드인: 제프 위너, 리드 호프먼
– 마이크로소프트: 사티야 나델라, 빌 게이츠, 치 루, 스캇 구스리

  • 인수 후 링크드인의 브랜드, 문화, 그리고 운영의 ‘독립 체제’를 유지할 예정

– 유튜브, 인스타그램, 왓츠앱등의 회사도 이런식으로 운영되어 왔거나 운영되고 있음
– 현 CEO인 제프 위너는 계속해서 링크드인의 사장직을 유지하고, 사티야 나델라에게 직접 보고함 (나델라가 기존의 링크드인 이사진을 대체하는 구조)
– 직원들 역시 일상 업무 및 직책을 유지함. 단, 링크드인이 독립적인 상장회사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업무를 담당했던 직원들은 새로운 직장을 찾는데 회사가 도와줄 예정

시너지

  • 총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3150억 달러 (약 368조 원, +58% 증가)

– 마이크로소프트: $2000억 달러의 Productivity & business process 시장
– 링크드인: $1115억 달러의 Hire + Market + Sell 시장

  • 2018년까지 매년 $1억 5천만 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

관련 보도 자료

 

mslnkd

.

PS – 개인적인 생각이나 회사 내부의 분위기 및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는 일부러 쓰지 않았습니다. 나중에 돌아볼 시간과 ‘자격’이 된다면 그 때 생각해볼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