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 전 업무 차 고국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는데 이 참에 평소에 관심이 있던 스타트업 및 벤처 투자자들을 만나 한국 스타트업 업계에 대해 배우고, 또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미국에 나온 후 십 수 년 동안 단 한 번도 한국과 관련해서 일해본 적도 없고 한국 스타트업에 대해 제대로 관심을 가지고 보게 된 것도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조그마한 뉘앙스 하나하나가 새로웠고, 또 나의 실리콘밸리 경험과 견주어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가장 크게 느낀 점들을 까먹기 전에 정리. (쉽게 각인될 수 있게 극단적인 표현을 사용 하였지만, 실리콘밸리와 비교해서 정도의 차이라는 점을 인지 바람)
가장 다르게 느껴졌던 점 (= 아쉬웠던 점)
모두가 애널리스트이고 감독인 세상. 선수는 어디에?
스타트업 생태계 밖에 있는 사람들(대기업, 금융계, 공무원)은 물론, 스타트업 생태계에 있는 많은 사람들 조차 ‘이래서 한국 스타트업은 안 돼’ 식의 비판적인 사고 방식을 가진 사람을 생각보다 많이 만났다. 예를 들어, ‘내가 아이디어는 많은데, 개발자를 구할 수 없어서 스타트업을 못 해’, ‘스타트업은 투자 받기가 너무 어려워서 안 돼’, ‘한국서는 시장이 작아서 성공할 수가 없어’, ‘한국은 각종 규제 때문에 절 대 잘 될 수가 없어’, ‘머리 좋은 애들은 다 대기업 가는데 스타트업이 살아남을 수 있겠어?’ 등. 이런 비판적인 사고 자체가 나쁘다고 할 수 없지만 이런 문제점들은 입에 침이 마르도록 분석하고 훈수(?)를 두면서 실질적인 해결책 마련 및 문제의 대응에 대해선 불난 집 구경하듯 매우 수동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매우 아쉽게 느껴졌다. 실리콘밸리도 개발자 구하기 어렵고, 매출 100억이 넘어도 시장이 (TAM) 작다고 투자를 못 받는 경우가 허다하며, 대부분의 ‘똑똑한’ 친구들은 테크 대기업이 싹 쓸어간다. (혁신과 스타트업의 진원에 있어 편향이 있겠지만) 실리콘밸리의 문화는 이런 비판적인 사고와 더불어 이를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는 자세가 저변에 깔려있는데, 한국 스타트업 업계도 이런 면에서 조금 더 발전했으면 좋겠다.
규제 및 인증의 벽
말로만 듣던 규제 및 인증의 벽이 정말 ‘넘사벽’일 때가 있음을 실감. 핀테크 하시는 분을 만났는데 한국서 핀테크를 하면 금융 전문가가 아닌 법률 전문가가 된다고 하소연을 하시더라는. 큰 규제를 설득에 설득을 거듭하여 겨우 넘으면 또 다른 부처에서 다른 규제로 태클이 들어오고, 해결하기 위해 관련 부처들의 입장을 조율하고 있으면 또 그 위에 계신 분(?)이 다른 이유로 불허하고… 약 10개월 정도 제품을 기획 및 개발하고 있는데 그 중 6개월 이상을 변호사랑 법 공부하고 담당 부처에 출입하면서 규제를 풀고 인증을 받는데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
개인적으로 규제는 혁신과 빠른 성장이 필요한 신사업 분야에는 최소한으로 존재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한국 방문 중 한국이 세계 두 번 째로 ICO를 금지했다는 소식을 접했는데, 정말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위험한 투기 및 돈 세탁 등의 위험을 줄여서 ‘국민을 보호하려는’ 의도는 충분히 이해한지만 이는 새로운 형태의 금융 혁신과 유동성을 막아버리는, 득 보다 실이 많은 결정이다. 미국 송금업체인 페이팔의 시가총액이 아멕스를 넘어 골드만삭스의 턱 및 까지 왔다고 한다. 이런 엄청난 페이팔도 1998년 창업 당시엔 보안, 사기, 돈 세탁 등의 위험이 넘처나는 금융계의 이단아였다. 페이팔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투자 받은 돈의 상당한 부분을 나쁜 사람들이 어떻게 보안망을 피해 금융 사기를 행하는지 관찰하는데 사용하였고 이때 얻은 인사이트를 통해 세계에서 손 꼽는 위험 분석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더 정확하고 빠르게 금융 거래에 대한 위험 요소 분석이 가능하게 된 페이팔은 이 기술을 기반으로 더 안전하고 편리한 송금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폭풍 성장, 지금의 거대 핀텐크 기업으로 성장한 것이다. 만약 페이팔이 창업 초반에 맞이 했던 문제점들을 규제로 통제하려 했다면 이런 멋진 알고리즘과 서비스가 과연 나왔을지 생각해 볼 일이다.
B2B의 부재
짧은 시간 동안 만난 회사의 모수가 작아서 일반화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한국 스타트업에서 B2B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느꼈다. (한국 카메라 + 데이팅 앱의 수가 한국 전체 B2B 스타트업 보다 많은 듯?) 요즘 실리콘밸리의 B2B 스타트업 추세는 SaaS, Cloud, 그리고 ROI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으로 on-premise의 높은 비용 장벽을 없애고, SaaS의 사업 모델로 회사들이 필요할 때 서비스를 ‘구독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체 개발하는 것 보다 높은 투자 효율 (ROI) 및 노동 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추세가 아직 한국 기업 전반에 와닿지 않는 것 같다. 교육 스타트업 하시는 분을 만나 기업 상대로 enterprise business를 하면 더 좋지 않을까요 라고 의견을 드리자 한국의 B2B 구매 과정에 대해 알려주시며 B2C를 하는 것이 더 가능성이 있다고 말씀 하시더라. 실리콘밸리에서는 자주 겪지 않지만 한국에서는 거의 확실하게 마주하는 B2B 구매 과정의 어려움:
- 왠만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다 막아두는 한국 기업의 엄청난 파이어월: 드랍박스, 구글, AWS를 막아두어서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는 아예 접속이 안된다는… ㅠㅠ
- 노동 생산성 및 ROI: ‘왜 돈 주고 새로운 도구를 써야 되지? 그냥 사람 더 쓰면 안 돼? 야근 좀 더 하면 안 돼?’로 접근하는 사고 방식.
- 의사 결정권자의 책임 회피 편향: 클라우드… 이거 보안 사고 나면 누가 책임질건데? 스타트업 서비스… 이거 쓰다가 당신네 망하면 어떻게 책임지라고? S사가 사용하면 우리도 쓸게.
희망적으로 느껴졌던 점
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증가
작년 초 한국에 방문했을 때만 해도 O2O가 스타트업 트렌드로 회자 되곤 했다. O2O도 매력적인 면이 있지만 시장 확장성, 지속 가능성, 그리고 실제로 구축할 수 있는 진입 장벽이 확실치 않은 부분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대부분 규모를 빨리 키워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 반면 올해는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들이 약진을 하고 있음을 느꼈다.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은 기술 자체가 커다란 진입 장벽으로 이용할 수 있고 현재 한국에만 서비스를 하고 있어도 상대적으로 쉽게 세계 어느 곳에서도 사업 확장이 가능하기에 매우 고무적인 트렌드라고 생각한다. 대기업 CVC에서 전략 투자를 담당하시는 지인께서 이스라엘이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이 활성화 되어 있고 이에 투자 및 엑싯 성과도 꽤 좋다는 이야기를 해 주었는데, 한국도 이런 트렌드가 시작되는 것이 아닌가 살짝 기대가 된다.
정말 훌륭한 인적 자원
이번 한국 스타트업을 방문하면서 가장 감동한 것은 이들이 가진 훌륭한 인적 자원. 재능 넘치는 인재들이 스타트업에 점점 늘어나고, 이들이 모여서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제품이 조금씩 나온다는 사실이 위에서 제기한 ‘선수는 어디에?’라는 질문에 대답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세상 좁은’ 한국이라 업계 사람들끼리 많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도 매우 고무적이다. 같은 업계에 있다고 서로 친구가 될 필요는 없지만 좋은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스타트업 업계에선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단, 학연/지연에 지나치게 얽매이고 배타적인 모임을 만들어 ‘그들만의 리그’가 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암튼, 개인적으로 이번에 만난 훌륭한 분들과 언젠가 같이 일을 하고 싶다는 마음이 크게 들 정도로 한국 스타트업 인재의 수준에 놀람. 그레이트!
.
또 언제 한국을 방문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앞으로 멋지게 발전할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가 너무나 기대되는, 그런 여행이었다.
.